대한민국 복지 서비스는 대부분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측정이 됩니다, 따라서 연도별 중위소득에 대해 정확하게 확인하고 나에게 맞는 복지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요율과 급여를 받기위한 소득은 얼마인지 이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는 가구 규모별로 다르며, 사회 복지 혜택의 기준점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 2,228,445원
2인 가구 : 3,682,609원
3인 가구 : 4,714,657원
4인 가구 : 5,729,913원
5인 가구 : 6,695,735원
6인 가구 : 7,618,369원
가구 규모별 중위소득 요율 상세
1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2,228,445원
- 중위소득 300%: 6,685,335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1,114,223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891,378원
2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3,682,609원
- 중위소득 300%: 11,047,827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1,841,305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1,473,044원
3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4,714,657원
- 중위소득 300%: 14,143,971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2,357,329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1,885,863원
4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5,729,913원
- 중위소득 300%: 17,189,739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2,864,957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2,291,965원
5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6,695,735원
- 중위소득 300%: 20,087,205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3,347,868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2,678,294원
6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7,618,369원
- 중위소득 300%: 22,855,107원
- 중위소득 50% (교육급여): 3,809,185원
- 중위소득 40% (의료급여): 3,047,348원
중위소득에 따른 다양한 혜택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조건에 대해 확인해보세요.
2024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혜택 총정리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정책인 기초 생활 수급 제도는 기준에 의거하여 다양한 지원으로 많은 분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도에는 기초생활수급자 조건과
cin.essencemore.com
중위소득 요율과 이에 따른 가구별 소득 기준은 복지 혜택의 핵심 지표로 작용합니다.
각 가구의 소득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사회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 복지 정책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복지 혜택의 대상과 범위를 정확히 설정하고, 필요한 지원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